대부분 임산부가 경험하는 산후 우울감과 우울증 > 전문가칼럼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 칼럼

대부분 임산부가 경험하는 산후 우울감과 우울증

profile_image

사랑해엄마

10일 전


*산후 우울증



출산 후 85%에 달하는 여성들이


일시적으로 우울감을 경험하지만,


대다수는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할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다고 해요.



보통 우울, 불안, 짜증,


잦은 눈물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대개는 자연적으로 호전된다고 하지만.


산모의 10~20%는


산후 우울증으로 이어질 정도로


심각한 우울감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산후 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출산 이후 4주 전후로 발생하나


출산 후 수일 이내 및


수개월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병 3~6개월 후에


증상이 호전될 수도 있지만,


잘 치료받지 않을 때에는


1년 넘게 지속하기도 합니다.



방치할 경우 산모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의 성장발달 및


가족관계에도 심각한 영향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산후 우울감 치료와 관리


<약물치료>



대개 산후 우울증이 발현되는


시점이 수유 시기와 겹치므로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 치료는


수유에 문제가 없는 약물인지를 검토하고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모유 수유를 하지 않기로 했거나


우울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이 있고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심하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통해


항우울제, 기분조절제, 항불안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더욱더 빠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신치료>


일반적인 우울증에 널리 사용되는


인지행동치료와 대인관계치료가

가장 많이 추천되고,


그 외에도 다양한 정신치료 기법들이

환자 상태에 따라 적용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돕는법 - 마인드셋>


1. 내 역할은 “OO 엄마”뿐만이 아니며

나는 하나의 인격이고 소중한 사람이다.


아이를 낳고 온종일 돌보다 보면


일상의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아이에게만 집중해서 쏟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전의 내가 해왔던 일들을

도저히 할 수가 없을 정도로 힘이 달립니다.


이제 내 인생은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가족들과 주변 사람들도

엄마의 역할만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OO 엄마는

내 인생의 수많은 역할 중 하나일 뿐입니다.


엄마로서 아이를 잘 돌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 자신을 잃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고생하는 스스로 선물을 주거나

간단한 취미 활동을 즐기거나


하루를 정리하고 돌아보는 시간을

꼭 가져 스트레스를 예방합니다.


2. 처음부터 쉬운 일은 없고

완벽할 수도 없다.

남들과 비교하지 말자.


SNS를 보면 다른 부모들은

다들 아이를 정말 예쁘게,


올바르게 잘 키우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처음부터

육아에 능숙한 사람은 없습니다.


선배 부모들도 똑같이

서툴게 아이를 대하기 시작해

점점 익숙해졌을 것입니다.


내가 다른 사람보다 모성애도 없고

엄마의 자질이 부족해서

잘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아이를 돌보는 일은 여러분뿐만 아니라

모두에게도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3. 필요할 땐 꼭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아이를 돌보는 일은

매번 행복하지만은 않고

어렵거나 부담스러운 일도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으면

혼자 해결하기가 버겁다면


남편이나 양가 부모님,

친척들에게 도움을 당당하게 요청해 보세요.


솔직하게 육아의 어려움에 대해 밝히고

이에 대한 감정을 가족들과 나누세요.


엄마라고 해서 혼자 모든 일을

해결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실제로 혼자 모든 일을

다 할 수도 없는 것입니다.


산후 우울감은 대부분이

경험하는 감정인 만큼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관리해주세요.

댓글 1

정예진
25-04-15 22:00
감정이 중요한거 같아요,